레이블이 1080p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1080p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3년 5월 20일 월요일

1080P 이상의 디스플레이...


오늘 공원벤치에서 비맞으며 앉아있다가 한 생각...


드디어 제임스 카메론 아저씨의 아바타 영화를 봤다. (DVD로..)... 꽤 괜찮은 영화였는데... DVD화질을 1080P 디스플레이에서 보니 별로더라.. DVD는 480P지 아마..? 이제 사람들이 1080P 영상을 하도봐버릇 해서 DVD 품질이 구려보이는 현상.. 흑 -_-;; 심지어는 유튜브 비디오가 DVD보다 품질이 좋아보인다...

그럼 이젠 무슨 일이 일어날까? 1080P이상의 디스플레이가 필요할까?... 한동안 사람의 눈은 수백만개 픽셀 이상을 보지 못하므로 1080P 을 넘는 디스플레이는 쓸모없다고 믿는게 통설이었던거 같다..(1080P는 대략 2백만 픽셀이 나온다)... 하지만 사람의 눈의 그보다 많은 픽셀을 볼수 있단다.. 대략 6억화소... -_-; 그럼 당연히 1080P 이상이 필요하겠지...




그렇다면 어느날 TV가 이정도 이상의 픽셀을 지원하겠지..? 그럼 여기서 TV의 해상도를 더이상 높이지 않아도 될까...?  음.. 그건 아니라고 생각한다..인간의 눈이 한계가 아니라... 제조비용이 높아지는게 한계일듯 하다. 계산의 편의를 위해 인간의 눈이 대략 10억개의 픽셀을 볼수 있다고 해보자.. 그러면 40억개 픽셀이 달린 TV가 있다면... 인간의 눈의 4개의 픽셀을 하나로 인지할 것이다. 즉 4개의 픽셀을 혼합해서 하나로 만든것과 마찬가지 결과... 어... 그럼 이건 말그대로 4x 슈퍼샘플링 안티앨리어싱(SSAA)이 아닌가...? 160억개 화소면 16x 슈퍼샘플링 SSAA고... 이.. 이거 신나는걸? -_-;

하지만 앞에서도 말했듯이 픽셀을 더 추가하는게 너무 비싸질 지도 모른다... 하지만 LED가격이 계속 떨어지고 있고 LED의 소비전력도 매년 낮아지는 추세니.. 이건 문제가 아닐지도 모른다... 오히려 물리법칙의 한계상 더이상 픽셀을 추가하지 못하는 현상이 생기진 않을까? 싱글코어 CPU를 더이상 빠르게 만들지 못하게 된것 처럼....? 그럴지도.. 하지만 일단 6억픽셀부터 따라잡으려면 시간이 좀 걸릴거 같다 -_-;

2013년 5월 11일 토요일

포워드 렌더링으로 컴백

사실 예전에 '포워드 렌더링을 다시 고려하는 이유'라는 글을 쓰다가 완성을 못한적이 있었다... 뭐 당연히 다들 아는 그런 이야기들인데..

다시 포워드 렌더링으로 돌아왔다.. 돌아오니 디퍼드 렌더링에서 아주 속썩었던 부분들이 해결되서 참 맘에 든다.. 하지만 또 이렇게 오래 포워드쓰다보면 다시 디퍼드가 그리워지겠지...

하지만 뭐든간에 실시간으로 처리할수 있는 그래픽효과는 한계가 있다... 동적으로 변하는것이 많지 않은 게임이라면 오프라인으로 라이트맵으로 베이크 하는게 최고고... 그러면 굳이 디퍼드가 필요없고.. 그럼 포워드 하면서 하드웨어 앤티애일리어싱 써주면 아주 행복 ^_^

하지만 그럼에도 동적그림자가 필요한 부분이 있으니 샤도우맵을 만들어야 하지만.. 현재 만드는 게임 - FIFA - 는 동적 그림자를 드리워야 할 놈들이 딱 정해져 있으므로 보다 generic하게 만들 필요가 없어서 그림자의 품질 유지가 가능함.. (물론 거기에 PCF니 뭐니 해야하지만...)

생각해보니 처음으로 60FPS로 도는 게임을 만드는거 같다..... 여태까진 디퍼드에 포스트 이펙트 팍팍 넣어서 30FPS로 겨우 돌렸음.. 60 FPS는 사실 게임반응속도가 높아 좋은거고... 화면에 그리는 픽셀수가 많을수록 화면 품질은 좋아지는듯.. 특히 최소한 1080p는 뽑아줘야 하지 않나.. 60 FPS에 1080P.. 추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