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Linux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Linux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1년 1월 26일 수요일

윈도우 7에서 VirtualBox 설치/제거가 오래 걸릴 경우

VirtualBox 3.3과 4.0을 윈도우즈 7에 설치할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을 겪었었다. 설치/제거 시간이 열라 오래 걸려서 취소하려고 했으나 취소조차 안되는 상태... 작업관리자(task manager)를 통해서도 프로세스를 강제종료도 안되고.... 결국엔 컴터 전원을 강제로 껏다 켜야만 회복되는 상태... 우어 -_-

좀 조사해본 결과 VirtualBox가 설치/제거시에 네트워크 연결을 가지고 좀 노는 것으로 판명... 뭔짓을 하는지는 정확히 알아내지 못했지만 이렇게 매우 쉽게 해결했다.

  1. 컴퓨터에서 인터넷 선을 뽑아버린다.
  2. VirtualBox를 설치(또는 제거)한다.
  3. 인터넷 선을 다시 꼽아준다.
끝 -_-;

2011년 1월 21일 금요일

ubuntu 10.10 커맨드 라인으로 곧바로 부팅하는 법



주말동안 드디어 유분투 10.10을 깔았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리눅스를 깔게 된 주 이유는 웹프로그래밍 할 때 쓸 테스트 서버가 필요해서... 서버로 쓸 놈이라 GUI가 필요없는지라 서버 에디션을 깔았고, 그 위에 별도로 Ubuntu 데스크탑을 깔았는데.. .제길 -_-;  시작할 때마다 GUI 로그인 화면(GUI)이 떴다. 써글... -_-

GDM을 끄려고 인터넷을 뒤지고 뒤져도... 모두 이전 버전에서만 작동하는 방법이거나 서버를 안깔고 곧바로 데스크탑을 깔아야 작동하는 방법인듯... 결국 리눅스/유닉스 대가인 직장동료 데니엘 박사님의 도움을 받아 이걸 제대로 하는 법을 알아냈다...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공유함...

  1. /etc/init/gdm.conf 파일을 에디트한다. ("sudo vi /etc/init/gdm.conf" 를 쓰면 됨)
  2. 다음처럼 되어있는 라인을 찾아.

    start on ( filesystem

    아래와 같이 바꾼다.

    start on (runlevel [5]
              filesystem
  3. 그리고 다음의 라인을

    stop on runlevel [016]

    이렇게 바꾼다.

    stop on runlevel [01236]

이러면 모든 것이 유닉스와 동일한 실행레벨(run level)이 된단다. 구글 검색으로 찾은 다른 웹사이트에서는 "stop on runlevel [0126]"만 바꿔도 된다고 했으니 부팅할때 컴퓨터가 멈추더라 -_-;

어쨌든 이건 내 컴에서 잘도는 방법.. 다른 사람도 그러리라 생각...